본문 바로가기

경기도 광주시
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/ 경기도 광주시

이 글은 경기도 광주시(부서명: 감염병관리과)에서 맡아 관리하는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. 지원대상, 지원내용, 신청방법을 확인해서 정부의 공공서비스, 지원금 및 보조금 혜택을 놓치는 일이 없으시기 바랍니다.
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
주요내용

  • 신청기간 상시신청
  • 전화문의 광주시 보건소 (031-760-4765), 광주시 보건소 (031-760-4767)
  • 신청방법 ○ 온라인 신청
    - 복지로 : http://www.bokjiro.go.kr

    ○ 방문 신청
    - 주민센터 :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
    - 보건소 : 관할 보건소 방문
  • 접수기관 주민센터,보건소
  • 지원형태 이용권

지원대상

지원대상

○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광주시로 등재되어 있는 임산부

지원내용

지원내용

○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

신청방법

신청기간

상시신청

신청방법

○ 온라인 신청

- 복지로 : http://www.bokjiro.go.kr

 

○ 방문 신청

- 주민센터 :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

- 보건소 : 관할 보건소 방문

제출서류

① 산모 신분증(대리인이 올 경우, 대리인 신분증 추가)

② 임신 확인 또는 출생아 확인 출산 전 : 분만예정일이 기재된 임신확인서 또는 분만예정일이 기재된 산모수첩

출산 후 : 병원에서 발급받은 출생증명서 또는 영아 출생신고 하였을 경우 주민등록등본

③ 부부의 주소가 다르거나 배우자가 외국 국적인 경우 : 가족관계증명서

④ 사실혼일 경우 : 각각의 가족관계증명서 각 1부 및 사실혼 확인보증서(보증인 2인 신분증 사본 추가) 사실혼 확인보증서(보건소 홈페이지 다운로드 가능)

⑤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: 입·퇴원이 명시된 진단서, 입·퇴원 확인서

⑥ 휴직자일 경우 : 재직증명서(휴직기간 및 유·무급여부 표시), 유급일 경우 최근월분 급여명세서

⑦ 프리랜서일 경우 : 재직증명서, 위촉증명서 또는 계약서 사본 및 계약이행확인서

⑧ 사업자일 경우 : 사업자등록증

접수/문의

접수기관

주민센터,보건소

문의처
광주시 보건소 (031-760-4765)
광주시 보건소 (031-760-4767)

정부 지원금 보조금 후기

예전에는 사회·경제적으로 불안하다고 느끼면서도 정부의 복지 정책에 대해 전혀 몰랐거나, 알게 되더라도 막연히 어렵게 생각해서 지나쳤습니다. 그런데 이제 나의 복지(행복한 삶)는 그 누구도 아닌 내가 열심히 챙기고 있습니다! 여러분이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과 함께 정부의 공공서비스, 지원금 및 보조금을 최대한 활용하고 누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.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